연혁
1~3단계 세부설명
인천국제공항 건설 1~3단계 세부사업 알아보기2단계 (2002 ~ 2008)
인천국제공항의 도전은 끝이 없습니다.
2단계 건설사업을 통해 탑승동과 제3활주로, 화물터미널과 주변 시설 확장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최첨단 공항으로 진일보하여 대한민국을 넘어 동북아를 대표하는 허브공항으로 발돋움하였습니다.
- 탑승동 16만 7천㎡
- 3활주로 4,000 x 60m
- 사업비 2 조 9,688 억 원
- 운항처리능력 연 17 만 회
- 항공화물 180 만 톤
- 여객수용능력 연 2,400 만 명
- 공항철도 서울역↔제1터미널 61㎞
2단계 건설사
- 건설기간 77개월
- 부지조성 956 만 8,000㎡
-
사업비
(국고35%) 2 조 9,688 억 원 -
탑승동
여객계류장(접현+원격) 49개소-
접현계류장 (게이트)
F급: 5 E급: 12 D급: 13 - 30개소
- 원격계류장
- 19개소
-
접현계류장 (게이트)
- 투입장비 연 83 만 대
- 여객수용능력 연 2,400 만 명
- 건설인력 연400 만 명
- 셔틀트레인(IAT) (복선셔틀)0.9㎞
- 운항처리능력 연 17 만 회
- 항공화물 처리능력 180 만 톤
- 공항철도(서울역↔제1여객터미널) 91㎞
- 주차장 (화물)1,079면
- 화물계류장 12개소
- 활주로 1개 (4,000×60m)
2단계 건설개요
기간 | 2002.01 ~ 2008.06 (77개월) |
---|---|
규모 |
탑승동 1만 6천㎡ 제3활주로 1개 여객계류장 49개소, 화물계류장 12개소 |
사업비 | 2조 9,688 억 원 |
주요연혁 |
2004.06.28 탑승동 굴토 및 파일공사 착수 2007.07.30 제3활주로 포장완료 2008.06.20 2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
연간운항처리능력 | 17 만 회 |
화물처리능력 | 180 만 톤 |
연간여객처리능력 | 2,400 만 명 |
공항철도 | 서울역↔T1복선 61㎞ |
포토갤러리 1페이지
TOTAL 8
항공기 등급
항공기를 크기별로 구분한 것으로 '주날개폭(Wing span)'과 '주륜 외곽의 폭(Outer main gear wheel span)'의 크기에 따라 A급에서 F급까지 항공기 등급이 결정된다. 여객기 가운데 가장 크다고 알려진 에어버스의 A380 항공기가 F급 항공기다.
구분 기준에 따른 항공기 등급
항공기 등급 | 주날개 폭 | 주륜 외곽 폭 | 항공기 종류 |
---|---|---|---|
C급 | 24m-36m 미만 | 6m-9m 미만 | B737, A320 |
D급 | 36m-52m 미만 | 9m-14m 미만 | A300, B767 |
E급 | 52m-65m 미만 | 9m-14m 미만 | B747 |
F급 | 65m-80m 미만 | 14m-16m 미만 | A380 |
